1. 숫자 데이터 (Numeric Data Types)
- 숫자형 데이터
: 정수/실수/복소수/2진수/8진수/16진수를 포함,
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 중 하나이다.
- 숫자의 표현 범위가 무한대이다.
숫자 출력
c = 3.14
d = 4
print(c - d)
Out[1]: -0.8599999999
> 실제로 계산하면 c - d = 3.14 - 4 = -0.86인데
위의 코드를 출력하면 -0.8599999999 가 나온다.
> why?
우리가 쓰는 수는 10진수이지만,
컴퓨터는 2진수로 계산하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수로
계산해준다.
int 나누기
print(6/2)
Out[2]: 3.0
> int를 나누기 연산하면 무조건 float가 된다.
* 패스트캠프 - 데이터분석 레벨원 강의를 요약하였고, 필요한 내용은 첨가하였습니다.
'Python > 데이터 다루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 01_02. 텍스트 다루기_3 (문자열 관련 함수들) (0) | 2023.03.23 |
---|---|
CH 01_02. 텍스트 다루기_2 (Formatting) (1) | 2023.03.21 |
CH 01_02. 텍스트 다루기_1 (""와 '', escape ,문자열 연산) (0) | 2023.03.21 |